정당의 역할과 정치적 리더십

주된 내용(핵심 포인트)

  • 한국 정당사의 큰 흐름: 50~70년대 ‘권위주의 산업화–강한 여당 vs 분열된 야당’ 구도 → 80년대 온건한 민주화 이행 → 이후 대통령 중심으로 정당 기능 약화, 비대위 상시화.

  • “수평적 스펙트럼”이 유지돼야 민주주의가 작동한다는 논지(분단·전쟁의 정치적 효과와 대비).

  • 권위주의 시기에도 강한 정당조직·관료제·경제엘리트의 결합이 국가형성과 산업화에 기여.

  • 87년 민주화의 성공 요건: 경제여건, 국제환경(미국 정책변화), 군부의 복귀 비용 인식(광주의 교훈).

  • 민주화 이후: 주요 개혁·세계화 과제(예: IMF·FTA)가 ‘보수 의제’라도 정부 교체 속에서 추진되며 극단 좌파 포퓰리즘의 확산이 제한됨.

  • 최근 위기: 대통령정치 과잉·정당 리더십 공백·팬덤정치(열정적 소수·캔슬 문화·뉴미디어 자극성)로 인해 정당의 공적 기능 약화.

  • 해법: 제도 탓보다 정당의 실력 축적·지식 기반·문화 공동체화, 다당화(약 5개 수준)와 협치의 공간 확대.

하이라이트 인용문(보도자료용)

1) 역사·정치 일반

  • “정치는 힘든 실천입니다. 정치가는 역사를 공부하고, 역경을 버틸 체력을 길러야 합니다.”

  • “한국 현대사는 전쟁과 분단의 상처 속에서도 산업화와 민주화를 함께 이뤄낸 드문 사례입니다. 이 성취에 대한 최소한의 합의가 필요합니다.”

  • “제도론이 정치론을 질식시키면 안 됩니다. 좋은 제도를 찾기보다 좋은 정치를 복원해야 합니다.”

2) 정당 체제·리더십

  • “민주주의는 수평적 스펙트럼 위에 정당들이 경쟁할 때 작동합니다. 수직으로 갈라지면 중간이 사라집니다.”

  • “최근의 정당 위기는 비대위의 상시화대통령정치의 과잉에서 시작됐습니다. 정당 스스로의 리더십을 회복해야 합니다.”

  • “정당은 법적 조직이기 전에 문화적 공동체입니다. 실력이 작동하고, 당내 열정이 식지 않는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3) 팬덤정치·뉴미디어

  • “팬덤정치는 단순 추종이 아닙니다. 사회의 에너지를 당 밖에서 끌어오는 동원 메커니즘의 변형입니다.”

  • “정치가 신뢰의 게임이 되지 못하면, 여론전과 뉴미디어에 갇힌 열정적 소수의 정치로 흘러갑니다.”

  • “누군가를 살리는 정치보다 누군가를 지우는 정치에 익숙해진 것이 오늘의 위기입니다.”

4) 대통령제와 다당화

  • “대통령제는 우리에게 주어진 상수입니다. 그 안에서 정당정치를 복원해야 합니다.”

  • “거대 양당의 거울효과를 깨려면 정당 수의 증가가 필요합니다. 최소 5개 정당의 경쟁이 협력의 공간을 엽니다.”

5) 민주화·군부 복귀의 교훈

  • “광주의 희생은 87년의 평화적 이행 비용을 미리 치른 것입니다. 그 교훈 위에 민주화를 완성했습니다.”

6) 실력·지식·서사

  • “정당이 지식 혁명의 원천이 될 때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당의 세계관을 책과 대중적 서술로 제시해야 합니다.”

  • “정치는 웃음과 여유를 가진 사람이 해야 합니다. 상대의 마음을 무장해제시키는 언어가 민주주의를 지킵니다.”

  • “착하기만 한 정치도, 악하기만 한 정치도 실패합니다. 자기 영혼의 상처를 감수하고도 공익을 선택하는 용기, 그게 좋은 정치입니다.”

Q&A 하이라이트

  • 기술과 정치(쇼츠·SNS): “기술은 가속장치일 뿐입니다. 규범과 운영을 설계하면 부정적 효과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예: 회의 중계·발언 규칙). 핵심은 정당과 정치인의 역할입니다.”

  • 제3정당 가능성: “수요는 충분하지만, 공급(준비·지속성)의 허들이 높아졌습니다. 단기 국면 대응+장기 지식·서사 구축을 병행해야 합니다.”

  • 일본 비교: “정치보다 사회를 살려낸 힘이 일본의 장기침체를 견디게 했습니다. 약해 보이지만 퍼포먼스는 결코 약하지 않습니다. 배울 점이 있습니다.”

  • 대통령제 충돌 문제: “제도는 상수, 정치적 해법은 변수입니다. 단임제 탓을 하기보다 당-관료-사회를 잇는 리더십 설계가 필요합니다.”

  • 다문화·갈등: “갈등의 유무보다 리더십의 처리 능력이 변수를 결정합니다. 한국의 갈등도 정치가 다원적으로 개입해 완화해야 합니다.”

이준석 대표 발언 핵심 요약

  1. 개혁신당의 도전과 지속성 강조

    • 개혁신당이 걸어온 길은 결코 가볍지 않으며, 과거의 시도와 앞으로의 방향을 함께 분석해야 한다고 언급.

    • 대선과 총선을 모두 완주한 드문 정당으로서, 지방선거까지 완주한다면 정치적 역량을 증명하게 될 것이라 평가.

  2. 새로운 방법론의 필요성 제기

    • “예전의 실패를 같은 방법으로는 넘어설 수 없다”며, 정당 운영의 효율화와 혁신이 필요함을 강조.

    • 단순한 구호가 아닌 실질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

  3. 정당 모델의 효율화와 지속가능성

    • 10명 남짓한 당직자로 원내 정당을 운영하는 현실 자체가 도전이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정당 모델”을 만드는 실험이라고 설명.

    • “의석수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정당의 짜임새와 목표 설정 능력”이라며, 다른 정당들과의 비교보다는 독자적 체계 확립을 강조.

  4. 세계 정치 속에서의 정체성 탐색

    • 주황색을 상징으로 한 세계의 중도·개혁 정당 흐름을 언급하며, 일본 ‘참정당’ 등의 사례를 참고할 예정이라고 밝힘.

    • 유럽형 포퓰리즘 정당의 부상은 눈에 띄지만, 한국은 인종·종교 갈등이 없는 사회이므로 **“우리만의 방식”**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

    • 반(反)세계화나 극단적 민족주의의 길은 불가능하며, 한국적 현실에 맞는 제3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는 인식.

Next
Next

부동산 문제와 해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