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GA 모델이 제시하는 새로운 성장 전략 - 한국경제의 전환기 해법

1. 강연 핵심 내용 요약

① 대한민국의 현위치: ‘피크 코리아’와 전환기

• 한국은 후발국과 선진국의 경계에 있는 독특한 경제 구조를 가짐.

저부가 경공업부터 첨단 산업까지 산업 포트폴리오가 폭넓음.

국제사회에서 매우 드문 ‘경계국가’ 위치.

• 지난 40~50년간 축적해 온 산업·기술 역량이 최고조에 이르렀으나,

성장모델은 수명을 다함

새로운 전환 필요.

② 3대 전환 과제

1) 선진국 함정

• 한국은 중진국 함정은 극복했으나 중국과의 경쟁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해 정체.

3만 불에서 11년째 정체.

2) 수출 제조 중심 모델의 파산

• 글로벌 보호무역·관세전쟁으로 기존 모델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음.

• 낙수 효과 기반의 내수는 이미 한계.

• 제조업 환경은 고비용·탄소중립·구인난 등으로 국내 유지 어려움.

“5~10년 내 제조업의 70%가 해외로 나갈 것”

3) 일자리 구조의 붕괴

• 고학력·대졸 실업자 300만 명,

• 2030 ‘그냥 쉬었음’ 70만 명,

• 비정규직 40% 등 최악의 지표.

• 산업은 여전히 산업사회형인데, 인구는 이미 지식사회형

미스매치.

③ 정부 정책 실패의 원인

역대 정부가 매번 ‘첨단산업 육성’에 뛰어들었으나 성과 없음.

이유:

초격차 전략은 이미 중국이 규모로 압도

정부는 “숟가락 얹기”, 보여주기 정책국가 산업 전체 판로 전략이 없음

④ 전환의 핵심 방향: 경쟁구도 탈피 & 지식 서비스 기반

● “초격차 경쟁이 아니라 비대칭 전략을 만들 것”

한국이 가진 독보적 위치(선진국+후발국의 관심)를 활용한 산업구조 재편 필요.

기존 제조업 기반을 지식 서비스 산업으로 전환.

⑤ 글로벌 뉴딜:

한국형 성장 모델 (MASGA와 연계)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제안된 3축:

1) 제조업의 서비스화(Servitization)

• 물건을 파는 게 아니라 기술·노하우를 수출

• 미국 MASGA(조선산업 재건)에 적용 중

• 조선·철강·중소기업 생태계를 통째로 수출하는 방식

2) 산업별 앵커기업(대기업)을 국가 레버리지로 활용

• 현대·삼성·LG 같은 ‘패밀리 생태계’ 전체가 해외로 함께 진출

수만 명 일감 확보

3) K-국제산단/K-산업도시/K-경제 허브화

• 해외 제조거점

산업도시

신도시까지 확장

• 건설·엔지니어링·서비스·문화 등 한국 산업 전체가 수출됨

• 국내는 ‘국제 허브형 경제’로 변환

⑥ 최종 목표:

5대 한국형 지식 서비스 산업 구축

선진국 공통 5대 산업을 한국형으로 재구성:

1. 지식 IP 산업

2. 첨단 상용화 산업(기술 브릿지)

3. 개발금융 산업

4. 문화 산업(K-콘텐츠+K-라이프스타일)

5. 관광 산업

한국형 경제 전환의 본질.2. 질의응답(Q&A) 정리

Q1. “전 국민을 한 방향으로 밀어붙이면 문제가 생기지 않나?”

(지식 기반 연구원, 5천만 인구의 단일 방향성 우려)

▶ 대표 답변 요지

• 첨단 산업을 하지 말라는 게 아니라,

정부의 역할과 민간의 역할을 구분해야 한다.

• 민간은 기술개발·창의성 중심,

정부는 국가 산업 생태계 전체의 ‘판로’와 ‘출구’를 만드는 일이 본질.

(즉 정부가 방향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을 여는 것이 핵심)

Q2. “기초 연구 약화 & 미래세대 가능성 제한 아닌가?”

(First follower 전략 우려)

▶ 대표 답변 요지

• 현재 한국이 실패하는 이유는 기술 추격 때문이 아니라 기술 중심 사고 때문

• 개별 기술을 쫓는 것이 아니라

국가 전체의 판로와 시장 전략을 설계해야 함.

• 기술 선도는 민간이 하고,

정부는 구조적 시장을 만드는 투자·전략 기능에 집중해야 한다.

Q3. “한국은 왜 창의형/관리자형 인재가 부족한가?”

(프랑스

영화·예술계 종사자 질문)

▶ 대표 답변 요지

• 한국 기업은 새로운 문제가 나오면 필요 기술을 M&A로

• 빅테크도

원천 기술을 다 사서

조합하며 시장을 창출

• 한국도 내부 개발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운용·조합·시장개척’

조합하는 구조

중심으로 전환해야 함

Q4.

“본질로

돌아가는 사고방식은 어떻게 가능해지는가?”

(포럼 진행자 마지막 질문)

▶ 대표 답변 요지

• 한국 사회는

교육·정치·기업

모두 수단 중심 사고에 갇혀 있다.

• 본질로

가려면:1. 업의 본질(문제 해결)과 업의 수단(기술)을 분리

2. 국가·정당·기업

모두 시장과 판로를 여는 구조적 사고가 필요

3. 개인도 “기술 중심”이 아니라 ‘문제 중심 사고(problem driven)’로 전환해야 함

3. 전체 요약 문장

박광기 대표의 강연은 한국 경제가 ‘피크 코리아’라는 경계국가적 위치에서 기존의 제조업 중심

성장 전략으로는 더 이상 전진할 수 없다는 명확한 인식에서 출발함.

한국이 가진 독보적 산업 구조와 대기업 생태계를 활용해 제조업을 서비스화하고, 글로벌 산업도

시·신도시를 구축해 국제적 판로를 열며, 지식 서비스 기반의 5대 핵심 산업으로 전환하는 거시

전략이 제시되었음.

질의응답에서는 기술 추격 전략, 인재 부족 문제, 본질·수단의 혼동 등 구조적 질문이 이어졌으

며, 대표는 ‘기술이 아닌 시장·판로 중심 사고’가 전환의 핵심임을 반복 강조했음.

Next
Next

정당의 역할과 정치적 리더십